Prometheu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Prometheus] increase 함수에 대해서 (feat. Grafana) prometheus에서 increase 함수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. 케이스 별로 살펴보는 것이 제일 좋은데, 만약 아래 케이스에 대한 답을 모두 이해하고 있다면 완벽히 이해했다고 볼 수 있다. scrape 주기 30초, metric type = counter, metric name = test_metric_total 18시 9분 4초 1 18시 9분 34초 1 18시 10분 4초 2 18시 10분 34초 2 (18시 10분 4초 - 34초 사이에 값이 1 증가했다는 뜻) 18시 11분 4초 2 쿼리: test_metric_total{}[1m] (18시 11분 기준) 결과: 2 18시 10분 4초 2 18시 10분 34초 쿼리: test_metric_total{}[1m:1m] (18시 11분 기준) 결.. [Prometheus] dns_sd_config vs static config dns_sd_config와 static config 차이는 정말 단순한데, 구글링을 해보면 마음에 드는 설명이 없어서 정리한다. dns_sd_config와 static conifg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service discovery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. 보통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있고,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호출하는데 이 때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p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. 따라서 보통 다른 서버를 호출해야하는 client 기능을 갖는 application의 config 파일에는 호출하는 대상 서버의 ip 리스트가 나열되어 있다. (springboot에서는 application.yaml 이라고 생각하면 됨 - 단순 예시이며, 사실 일반적인 springboot application의 경우 serv.. 이전 1 다음